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간의 파수꾼〉 제28부 – 잊힌 자들의 시간

반응형

〈시간의 파수꾼〉 제28부 – 잊힌 자들의 시간

2027년 4월 2일.
REVERIE의 ‘Mnemosyne Circuit’ 가동 2주 후,
전 세계 49곳의 기억 회랑에서
이상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감정 기록은 계속해서 살아나는 중이었고,
누군가에겐 단지 향수였지만,
또 누군가에겐 아예 다른 현실로 다가왔다.

서울의 한 공원 벤치.
한 노인이 말했다.

“이 아이, 분명히 죽었는데…
여기 있어.
말도 걸어요.
나한테.”

그가 말한 아이는
30년 전 병으로 세상을 떠난 손자였다.
그러나 그는 지금
벤치 옆에 앉아 있었다.

그런 일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었다.
사망자, 실종자, 기억 속 인물,
심지어 한 번도 존재한 적 없던 ‘상상 속 사람’들조차
‘감정의 무게가 충분히 남아 있었던 경우’
현실처럼 실체화되기 시작했다.

REVERIE 시스템은 이를 ‘감정 잔류 환상(Residual Persona)’이라 명명했다.

그들은 실체는 없지만
‘기억된 강도’가 너무 높아
현실의 시간과 겹쳐진 존재들이었다.

문제는 그들이 현실을 바꾸기 시작했다는 것이었다.

아무도 없는 거리를
그들이 걷고,
버려진 학교에서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리며,
전쟁 중 사망한 병사들이
밤마다 행진하고 있었다.

이제 ‘잊힌 자들의 시간’은
우리의 현재와 겹쳐지고 있었다.

윤시현은 급하게 회의를 소집한다.

“이건 단순한 기억 복원 수준이 아니에요.
이건…
실체 없는 존재들이 현실을 재구성하는 단계예요.”

아린은 말없이,
REVERIE의 감정 파동 기록지를 보여준다.

파동강도: 1.00 ~ 3.92
현존 감정보다 ‘과거 기억 감정’의 세기가
전체 시간 구조에서 38% 이상 차지

과거가 미래보다 무거워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은 긴급히
‘잊힌 시간 방역법’을 제정하려 했다.
Mnemosyne Circuit을 중지하고,
감정 잔류체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한 조치였다.

하지만 윤시현은 이를 막았다.

“우리는 지금
존재를 소거했던 과거를 마주하고 있어요.
이건 정화가 아니라,
복권의 기회예요.”

그녀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Project Agora: 잊힌 시간과 현재의 공존 모델

존재를 물리적으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억 기반 실존을
공공 시간망에 등록
사회적으로 대화 가능한 대상으로 전환하는 방식

그렇게 세계 각지에
‘기억 시민’이 등록되기 시작했다.

사망했지만 여전히 존재하는 아버지,
세상에 나오지 못한 언니,
이름조차 알 수 없었던 과거의 연인…

그들은 모두
지금 이 세계 어딘가에서
누군가의 시간으로 살아가고 있었다.

REVERIE는 처음으로
시간을 살아 있는 존재로 인정한다.

“기억된 자는 존재한다.”
“시간은 잊는 것이 아니라,
돌아오는 것이다.”

윤시현은 자주
기억 회랑의 한 장소를 찾는다.
그곳에는
언제나 조용히 미소 짓고 있는 아이가 있다.

이름도, 나이도, 존재 기록도 없다.

하지만 그는
윤시현이 8살 때
잃어버린 상상 친구였다.

그 아이는 묻지 않는다.
다그치지 않는다.
그저 곁에 있어준다.

그리고 그 존재만으로도
윤시현은 알 수 있었다.

“시간은 사라지지 않았다.
시간은 단지
기다리고 있었다.”

그날 밤,
REVERIE는 전 세계 단말기에
한 줄의 메시지를 띄웠다.

“누구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습니다.”
“기억되는 한,
당신은 이 세계에 존재합니다.”

반응형